디얄리의 노트

728x90

이번엔 여러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큰 성공을 거둔 데이브 필키 Dav Pilkey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일단 한번 읽어보시죠. 잘 안 보이는 분들은 밑에 제가 적어둔 것을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ABOUT THE AUTHOR

 

When Dav Pilkey was a kid, he suffered from ADHD, dyslexia, and behavioral problems. Dav was so disruptive in class that his teachers made him sit out in the hall every day. Fortunately, Dav loved to draw and make up stories. He spent his time in the hallway creating his own original comic books.

 

In the second grade, Dav Pilkey created a comic book about a superhero named Captain Underpants. His teacher ripped it up and told him he couldn't spend the rest of his life making silly books.

 

Fortunately, Dav was not a very good listener.

 

 

좀 길긴 하지만 쉬운 문장들이니 좌절할 건 없습니다. 해석 들어가 보겠습니다. 끊어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에는 슬래시(/)를 넣어 봤습니다.

 

 

ABOUT THE AUTHOR 작가에 대해 (아마 데이브의 책 앞에 실린 내용인가 보네요.)

 

 

When Dav Pilkey was a kid, he suffered from ADHD, dyslexia, and behavioral problems.

 

데이브 필키가 어렸을 때 (직역하면 "아이였을 때"), 그는 ADHD, 난독증, 행동장애를 앓았다.

 

ADHD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약자입니다. 한국말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라는 긴 표현이죠. 그래서 한국에서도 그냥 ADHD라고 많이 부릅니다.

 

dyslexia도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환입니다. 디스렉씨아 정도로 발음하면 됩니다. 난독증이라는 뜻인데 이 증세가 있는 사람들 중 천재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스티븐 스필버그, 제이미 올리버 등이 난독증을 갖고 있습니다.

 

 

Dav was so disruptive in class / that his teachers made him sit out / in the hall every day.

 

데이브는 수업에 너무 지장을 줘서 그의 선생님들은 그를 매일 복도에 앉아 있게 했다. 

 

 

Fortunately, Dav loved / to draw and make up stories.

 

다행히 데이브는 그림을 그리고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을 아주 좋아했다. (이 문장에서의 동사 love는 사랑한다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like보다 좀 더 강한 느낌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He spent his time in the hallway / creating his own original comic books.

 

그는 복도에서 자신만의 만화책을 만들며 시간을 보냈다.

 

 

In the second grade, Dav Pilkey created a comic book about a superhero named Captain Underpants.

 

초등학교 2학년 때, 데이브 필키는 캡틴 언더팬츠라는 이름의 슈퍼히어로에 관한 만화책을 만들었다.

 

초등학교라는 표현이 원 문장에 나와있지 않은 이유는 미국은 그냥 1-12학년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12학년이 한국으로 치면 고3인 것이죠.

 

 

His teacher ripped it up / and told him / he couldn't spend the rest of his life / making silly books.

 

그의 선생님은 그것을 찢으면서 그에게 말했다. 평생을(남은 생을) 멍청한 책을 만들면서 보내서는 안된다고.

 

 

Fortunately, Dav was not a very good listener.

 

다행히 데이브는 그리 말을 잘 듣는 아이가 아니었다.

 

 

결국 선생님 말을 안 들어서 성공했다는 뜻이죠. a very good listener는 남의 말을 아주 잘 들어주는 사람에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여기서는 문맥상 "말을 잘 듣는 아이"로 해석했습니다.

 

아래는 데이브 필키의 만화책 The Adventures of Captain Underpants 표지입니다. 2017년에는 영화로도 나왔을 정도로 크게 성공한 작품입니다.

 

 

사실 미국에 사는 저희 조카들 중에서도 ADHD를 앓는 아이와 난독증을 앓는 아이가 있습니다. 특히 ADHD의 경우엔 병원에서 아빠로부터 유전된 거라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난독증이 있는 아이는 특수 교육을 받아야 해서 엄청난 돈이 들어가더군요.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는 좀 고생을 하더니 이제 좀 크면서 모두 많이 나아진 상태입니다. 겉으로 보기에 다른 아이들과 다를 게 없고 학교에서 성적도 잘 받아온다고 합니다. 남들보다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도 생겼습니다.

 

힘든 시간들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냥 각자 자기 재능대로 살아가면 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데이브 필키가 그림과 글로 표현한 저 캡틴 언더팬츠처럼 말이에요. 

728x9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